슬라럼 경기 규정이 있어서 기록해 둡니다.
슬라럼 할때마다 콘 세우는 것도 매우 귀찮은 일인데, 90cm 간격으로 표시를 해두어야 겠습니다. ㅡㅡ;;
출처 : 날군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슬라럼이란?
슬라럼이란 콘 등을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해 놓고 그 사이를 슬라럼 기술을 이용하여 통과
하는 것이다. 최근의 인라인 종목 중 레이싱과 함께 가장 인기 있는 종목 중의 하나로 떠오
른 슬라럼은 인라인스케이팅을 할 수 있는 곳이라면 거의 모든 곳에서 볼 수 있다. 다른 인
라인 종목에 비해 상대적으로 안전하고 자유로우며 여타의 기물과 전문장비가 필요 없어 좁
은 장소에서도 가능한 점이 슬라럼의 무한한 매력이다.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제 1 장 경기 규정
제 1 조 슬라럼 경기장
1. 세로 12m, 가로 36m인 직사각형으로 한다. 어느 쪽으로도 경사가 없는 평면이어야 한다.
바닥은 미끄럽지 않아야 하며 원활한 스케이팅이 가능한 곳이어야 한다.
2. 콘은 경기장의 가운데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한다.
3. 관람자와 경기장 사이는 최소 1m 이상 떨어져야 한다.
4. (스피드 슬라럼일 경우)출발선과 결승선은 경기장 내외를 구분짓는 선으로 대신한다.
제 2 조 스케이트
1. 스케이트는 선수가 가지고 있는 에너지로만 움직여야 한다. 스케이트 스스로 혹은 선수의
운동능력에 도움을 주는 장치를 스케이트는 가지고 있지 않아야 한다.
2. 휠의 개수는 자유지만 길이(첫 번째 휠 중심과 마지막 휠 중심 간의 거리)는 200mm를
초과해야 한다.
3. 브레이크는 금지한다.
4. 스케이트 외부(부츠, 프레임 등)의 장식 등은 경기 전 심판장에게 미리 허락을 받아야 한
다.
제 3 조 의상
1. 의상에 대한 특별한 규제는 현재 없다. 다만 노출이 심한 의상이나 상식적인 윤리에 반하
는 의상은 제재한다.
제 4 조 콘
1. 연맹(광명시 롤러연맹 혹은 대한인라인롤러연맹) 공인 콘이 아직 정해지지 않았으므로 현
재 쓰이고 있는 슬라럼용 콘 중 가장 많이 쓰이고 있는 콘을 임시로 사용한다.(예: 문어발
콘)
제 5 조 공식 경기 종목
1. 스피드 슬라럼
기술의 종류에 상관없이 최단 시간 안에 규정된 거리를 통과해야 하는 경기다.
2. 프리스타일 슬라럼
제한된 시간동안 음악에 맞춰 자신의 모든 기술을 이용해 자유연기를 펼치는 경기다.
3. 잼 (듀엣)
남성 2인, 여성 2인 혹은 혼성2인으로 이루어진 팀이 제한된 시간동안 음악에 맞춰 모든 기
술을 이용해 자유연기를 펼치는 경기다.
제 6 조 콘 배치 규정
1. 스피드 슬라럼
⑴ 개인기록경기일 경우
① 콘은 총 20개이며 직선이어야 한다.
② 콘 간 간격은 슬라럼이 발전하는 데 큰 역할을 한 올림픽공원 평화의 문 광장의 블록 간
격(0.9m)으로 하며 총 경기거리는 36m다.
⑵ 토너먼트(승자승)경기일 경우
① 콘은 총 40개이며 20개씩 두 코스로 분류한다. 모두 직선이어야 하며 두 코스는 평행해
야 한다.
② 코스 간 간격은 4m다.
③ 두 코스 사이에 높이 60cm의 코스 보호판(옆 경기 코스의 콘이 다른 경기 코스로 튕겨
들어오는 것을 방지)을 설치한다.
④ 콘 간 간격은 슬라럼이 발전하는 데 큰 역할을 한 올림픽공원 평화의 문 광장의 블록 간
격(0.9m)으로 하며 총 경기거리는 36m다.
2. 프리스타일 슬라럼
① 콘은 총 40개이며 20개씩 두 코스로 분류한다. 모두 직선이어야 하며 두 코스는 평행해
야 한다.
② 코스 간 간격은 1.8m다.
③ 선수의 요청에 의해 기존 콘 위치에서 콘 3개 이하의 위치 조정과 콘 3개 이하의 추가
사용이 가능하다. 그러나 추가 사용하는 콘의 모양이 다를 경우에는 경기 전 심판장에게 미
리 허락을 받아야 한다.
④ 콘 간 간격은 슬라럼이 발전하는 데 큰 역할을 한 올림픽공원 평화의 문 광장의 블록 간
격(0.9m와 0.6m)으로 한다.
3. 잼 (듀엣)
① 프리스타일 슬라럼 콘 배치와 같다.
제 7 조 경기 진행
1. 스피드 슬라럼
⑴ 개인기록경기일 경우
① 선수 한 명당 2회의 경기 기회를 가진다.
② 경기 순서는 추첨으로 결정되며 각 순서에 의해 심판이 이름을 호명했을 때 1분 안에 출
발선 앞으로 나오지 않으면 기권으로 처리한다.
③ 자동전자기록계측기가 있을 때 출발은 선수 스스로 진행할 수 있다. 다만 심판이 출발
신호를 한 후 15초안에 출발해야 한다. 출발하지 않으면 부정출발로 간주하며 2회 부정출발
시에는 실격으로 처리한다. 자동전자기록계측기가 없을 경우 심판의 진행에 따른다.
④ 심판의 “준비” 구호에 출발선에 위치하며 “차렷” 구호에 스타트 자세를 취한다. 심
판은 신호총(없을 경우 호각이나 깃발)으로 출발을 신호한다. 출발선을 밟아서는 안 되며 모
든 경기에서 스탠딩스타트만 허용한다. 부정출발 2회는 실격(해당 경기에 한함)으로 처리한
다.
⑵ 토너먼트(승자 승)경기일 경우
① 결승은 5전 3선승제로 하며 결승 이외의 경기는 3전 2선승제로 한다.
② 추첨(향후 랭킹에 의해 정해질 수 있다.)에 따라 상대선수가 정해진다.
③ 출발규칙은 개인기록경기와 같으며 한 선수가 2회 부정출발을 하면 그 선수는 실격(해당
경기에만 한함. 1패)되고 나머지 선수가 실격승을 얻게 된다. 첫 번째 경기 후 서로 코스를
맞바꿔 경기를 하게 되며 두 번째 경기까지의 결과가 1승 1패일 경우 추첨으로 코스를 정한
후 마지막 세 번째(결승전이라면 다섯 번째) 경기를 갖는다.
2. 프리스타일 슬라럼
① 선수 한 명당 경기 시간은 2분(남녀 동일)이며 10초 정도 가감을 허용한다.
② 1회 혹은 2회의 경기 기회를 가지며 예선전과 결승전으로 나뉠 수 있는데 경기 전 내 외
부 상황과 선수 인원에 따라 심판장이 결정할 수 있으나 경기 시작 전에 선수들에게 알려야
한다.
③모든 선수는 경기 시 자신들이 사용할 음악을 제출(CD 등)하여야 하며 제출하지 않은
선수는 운영진 측에서 준비한 음악으로 대체한다.
④ 경기 순서는 추첨으로 결정하며 각 순서에 의해 심판이 이름을 호명했을 때 1분 안에 나
오지 않으면 기권으로 처리한다.
⑤⑤ 경기 시작은 선수 본인이 정한 위치에 정지해 있다가 스케이팅이 시작되거나 몸동작을
시작하면 start로 간주한다.
6선수 자의가 아닌 타의로 경기중 방해(방해요인 아래 참고)를 받았을 때 선수는 경기를
중단(중단하지 않은 경우 그대로 경기로 인정)해야 한다. 이후 방해 요인이 해결되면 즉시
혹은 마지막 순서로 재 경기를 할 수 있으며 방해받은 경기의 점수는 인정하지 않는다.
방해요인
-음악이 들리지 않거나 음량이 현저히 달라질 때
-경기장의 장비가 방해를 할 때
-물건이나 관객 등이 경기장 내에 난입함으로 인해 방해를 할 때
-(바람이 불어서) 콘이 위치를 이탈할 때
이상의 방해요인 이외의 경우로 경기가 중단될 때 심판진과 협의하여 심판장이 결정할 수
있다. 선수의 자의, 건강상태, 의상, 스케이트불량으로 인해 경기가 중단될 경우 선수의 책임
이다.
3. 잼 (듀엣)
① 프리스타일 슬라럼 경기진행과 같다.
제 8 조 보조진행자
선수나 심판이 경기를 진행하는 데 돕는 역할을 하며 보조진행자의 수는 경기 규모에 따라
적절히 가감할 수 있다.
1. 스피드 슬라럼
콘 재배치 (1명), 선수관리 (1명), 관중관리 (2명), 기타
2. 프리스타일 슬라럼
콘 재배치 (2명), 선수관리 (1명), 관중관리 (2명), 경기 시간과 음악 관리 (1명), 기타
3. 잼 (듀엣)
프리스타일 슬라럼과 같음
제 9 조 심사 및 심판
어느 쪽으로도 치우침 없이 선수가 펼치는 경기를 신속, 정확 공정하게 평가해야 한다.
1. 스피드 슬라럼
출발심판 (1명), 벌점심판 (1명), 결승심판 (1명), 기록심판 (4명)
⑴ 개인기록경기일 경우
① 자동전자기록계측기가 있을 때는 계측기의 결과에 따른다.
② 자동전자기록계측기가 없을 경우 초시계(Stop-watch)로 측정한다. 0.01초까지 잴 수 있는
초시계여야 하며 모두 같은 모델이어야 한다.
③출발심판의 신호를 보고 측정을 시작하며 선수의 첫 번째 휠 중심이 결승선에 닿는 순간
측정을 멈춘다.
④ 4명의 기록심판 중 2명 이상이 일치하면 그 2명 이상에 의해 제시된 기록을 인정한다. 4
명의 기록심판이 일치하지 않으면 가장 빠른 기록과 가장 느린 기록을 제외한 2명 기록의
평균으로 한다.
⑤ 경기중 콘을 넘어뜨리거나 지나칠 때 콘 하나당 0.2초가 더해진다.
⑥ 넘어뜨리거나 지나친 콘의 개수가 총 4개 이상일 경우 실격으로 처리한다.
⑦ 기록 + 벌점 = 최종 기록
⑵ 토너먼트(승자승)경기일 경우
① 경기중 넘어뜨리거나 지나친 콘의 개수가 총 4개 이상일 경우 결승선을 먼저 통과해도
실격패(해당 경기에 한함)로 처리한다.
② 두 선수 모두 실격일 경우 해당 경기는 무효로 처리하고 재경기를 실시한다.
③ 사진판정기가 있을 때는 판정기의 결과에 따른다.
④ 사진판정기가 없을 경우 결승심판의 결정에 따른다.
2. 프리스타일 슬라럼
경기 심판 (5명), 벌점 심판 (1명)
① 경기를 평가하는 과정인 심사는 공정해야 한다. 심판의 수는 가감할 수 있다.
② 30점 만점이며 예술 15점, 기술 15점으로 나뉜다. 다섯 명의 채점 중 최고점수와 최저점
수를 뺀 세 명의 점수를 평균하여 산출한다.
③ 아래 "점수 기준"의 중간 점수를 줄 수 있으며(예: 5점) 정확한 채점을 위하여 0.1점 단위
까지 세밀히 나타낼 수도 있다.
④점수 기준
선수가 움직이지 않을 때: 0점
부족할 때; 2점
보통일 때: 4점
완벽할 때: 6점
(활용 점수와 스피드 점수는 순서에 따라 0점, 1점, 2점, 3점으로 나뉜다.)
예술-프로그램(콤보) 구성 및 음악과의 조화 6점
-창의성 6점
-콘 코스의 전체적인 활용 3점
기술-난이도 6점 (최재형 님의 논문 [걸음걸이 알고리즘과 표기방법]의 보법 참고 가능)
-다양성 6점
-스피드 3점
⑤ 벌점-넘어짐 -3점
-스케이트가 아닌 다른 신체부위가 바닥에 닿음 -1.5점
-콘이 넘어질 때(넘어지지 않아도 제 위치에서 10cm 이상 움직이면 넘어진 것으로
간주함. 10cm의 정확성은 벌점심판의 재량에 따름)마다 -0.2점 (콘과 스케이트가 닿은 상태
에서의 기술은 예외)
-경기시간 초과 및 단축 10초당 -0.5점 (경기종료 후 음악 및 시간관리를 맡은 보조진
행자가 벌점심판에게 알린다)
⑥ 총 점수 - 총 벌점 = 최종 점수
3. 잼 (듀엣)
프리스타일 심사기준을 따르나 예술과 기술 외에 어울림(15점)이 추가된다. (잼 경기의 총
점수는 45점이다.)
제 10 조 순위
1. 스피드 슬라럼
⑴ 개인기록경기일 경우
① 가장 빠른 기록순으로 순위를 정한다.
② 같은 기록일 경우 벌점이 적은 선수에게 높은 순위를 부여한다.
③ 같은 기록이며 벌점도 같을 경우 1차시기가 더 빠른 선수에게 높은 순위를 부여한다.
④ 같은 기록이며 벌점도 같고 1차시기 기록도 같을 경우 1회의 재경기를 실시한다.
⑵ 토너먼트(승자승)경기일 경우
① 결승전에서 승리한 선수가 1위가 되며 패한 선수는 2위가 된다.
② 결승에 오르지 못한 두 선수가 3, 4위전을 벌여 승리한 선수가 3위, 패한 선수가 4위가 된다.
③경기 상황에 따라 5위 이하 순위를 정하는 경기를 가질 수 있다.
2.프리스타일 슬라럼
① 최종 점수가 가장 높은 선수가 1위가 되며 점수 비례로 2위 이하가 정해진다.
② 최종 점수가 같을 경우 벌점이 적은 선수가 우선이며 벌점도 같을 경우 예술 점수가 높은 선수가 우선이다. 예술 점수도 같다면 공동순위로 한다.
3. 잼 (듀엣)
① 최종 점수가 가장 높은 팀이 1위가 되며 점수 비례로 2위 이하가 정해진다.
② 최종 점수가 같을 경우 어울림 점수가 높은 팀이 우선이며 어울림 점수도 같을 경우벌점이 적은 팀이 우선이다. 벌점도 같다면 공동순위로 한다.
2004년 2월 17일 제정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광명시 롤러연맹
GRSF
http://www.grsf.co.kr/
슬라럼 할때마다 콘 세우는 것도 매우 귀찮은 일인데, 90cm 간격으로 표시를 해두어야 겠습니다. ㅡㅡ;;
출처 : 날군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슬라럼이란?
슬라럼이란 콘 등을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해 놓고 그 사이를 슬라럼 기술을 이용하여 통과
하는 것이다. 최근의 인라인 종목 중 레이싱과 함께 가장 인기 있는 종목 중의 하나로 떠오
른 슬라럼은 인라인스케이팅을 할 수 있는 곳이라면 거의 모든 곳에서 볼 수 있다. 다른 인
라인 종목에 비해 상대적으로 안전하고 자유로우며 여타의 기물과 전문장비가 필요 없어 좁
은 장소에서도 가능한 점이 슬라럼의 무한한 매력이다.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제 1 장 경기 규정
제 1 조 슬라럼 경기장
1. 세로 12m, 가로 36m인 직사각형으로 한다. 어느 쪽으로도 경사가 없는 평면이어야 한다.
바닥은 미끄럽지 않아야 하며 원활한 스케이팅이 가능한 곳이어야 한다.
2. 콘은 경기장의 가운데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한다.
3. 관람자와 경기장 사이는 최소 1m 이상 떨어져야 한다.
4. (스피드 슬라럼일 경우)출발선과 결승선은 경기장 내외를 구분짓는 선으로 대신한다.
제 2 조 스케이트
1. 스케이트는 선수가 가지고 있는 에너지로만 움직여야 한다. 스케이트 스스로 혹은 선수의
운동능력에 도움을 주는 장치를 스케이트는 가지고 있지 않아야 한다.
2. 휠의 개수는 자유지만 길이(첫 번째 휠 중심과 마지막 휠 중심 간의 거리)는 200mm를
초과해야 한다.
3. 브레이크는 금지한다.
4. 스케이트 외부(부츠, 프레임 등)의 장식 등은 경기 전 심판장에게 미리 허락을 받아야 한
다.
제 3 조 의상
1. 의상에 대한 특별한 규제는 현재 없다. 다만 노출이 심한 의상이나 상식적인 윤리에 반하
는 의상은 제재한다.
제 4 조 콘
1. 연맹(광명시 롤러연맹 혹은 대한인라인롤러연맹) 공인 콘이 아직 정해지지 않았으므로 현
재 쓰이고 있는 슬라럼용 콘 중 가장 많이 쓰이고 있는 콘을 임시로 사용한다.(예: 문어발
콘)
제 5 조 공식 경기 종목
1. 스피드 슬라럼
기술의 종류에 상관없이 최단 시간 안에 규정된 거리를 통과해야 하는 경기다.
2. 프리스타일 슬라럼
제한된 시간동안 음악에 맞춰 자신의 모든 기술을 이용해 자유연기를 펼치는 경기다.
3. 잼 (듀엣)
남성 2인, 여성 2인 혹은 혼성2인으로 이루어진 팀이 제한된 시간동안 음악에 맞춰 모든 기
술을 이용해 자유연기를 펼치는 경기다.
제 6 조 콘 배치 규정
1. 스피드 슬라럼
⑴ 개인기록경기일 경우
① 콘은 총 20개이며 직선이어야 한다.
② 콘 간 간격은 슬라럼이 발전하는 데 큰 역할을 한 올림픽공원 평화의 문 광장의 블록 간
격(0.9m)으로 하며 총 경기거리는 36m다.
⑵ 토너먼트(승자승)경기일 경우
① 콘은 총 40개이며 20개씩 두 코스로 분류한다. 모두 직선이어야 하며 두 코스는 평행해
야 한다.
② 코스 간 간격은 4m다.
③ 두 코스 사이에 높이 60cm의 코스 보호판(옆 경기 코스의 콘이 다른 경기 코스로 튕겨
들어오는 것을 방지)을 설치한다.
④ 콘 간 간격은 슬라럼이 발전하는 데 큰 역할을 한 올림픽공원 평화의 문 광장의 블록 간
격(0.9m)으로 하며 총 경기거리는 36m다.
2. 프리스타일 슬라럼
① 콘은 총 40개이며 20개씩 두 코스로 분류한다. 모두 직선이어야 하며 두 코스는 평행해
야 한다.
② 코스 간 간격은 1.8m다.
③ 선수의 요청에 의해 기존 콘 위치에서 콘 3개 이하의 위치 조정과 콘 3개 이하의 추가
사용이 가능하다. 그러나 추가 사용하는 콘의 모양이 다를 경우에는 경기 전 심판장에게 미
리 허락을 받아야 한다.
④ 콘 간 간격은 슬라럼이 발전하는 데 큰 역할을 한 올림픽공원 평화의 문 광장의 블록 간
격(0.9m와 0.6m)으로 한다.
3. 잼 (듀엣)
① 프리스타일 슬라럼 콘 배치와 같다.
제 7 조 경기 진행
1. 스피드 슬라럼
⑴ 개인기록경기일 경우
① 선수 한 명당 2회의 경기 기회를 가진다.
② 경기 순서는 추첨으로 결정되며 각 순서에 의해 심판이 이름을 호명했을 때 1분 안에 출
발선 앞으로 나오지 않으면 기권으로 처리한다.
③ 자동전자기록계측기가 있을 때 출발은 선수 스스로 진행할 수 있다. 다만 심판이 출발
신호를 한 후 15초안에 출발해야 한다. 출발하지 않으면 부정출발로 간주하며 2회 부정출발
시에는 실격으로 처리한다. 자동전자기록계측기가 없을 경우 심판의 진행에 따른다.
④ 심판의 “준비” 구호에 출발선에 위치하며 “차렷” 구호에 스타트 자세를 취한다. 심
판은 신호총(없을 경우 호각이나 깃발)으로 출발을 신호한다. 출발선을 밟아서는 안 되며 모
든 경기에서 스탠딩스타트만 허용한다. 부정출발 2회는 실격(해당 경기에 한함)으로 처리한
다.
⑵ 토너먼트(승자 승)경기일 경우
① 결승은 5전 3선승제로 하며 결승 이외의 경기는 3전 2선승제로 한다.
② 추첨(향후 랭킹에 의해 정해질 수 있다.)에 따라 상대선수가 정해진다.
③ 출발규칙은 개인기록경기와 같으며 한 선수가 2회 부정출발을 하면 그 선수는 실격(해당
경기에만 한함. 1패)되고 나머지 선수가 실격승을 얻게 된다. 첫 번째 경기 후 서로 코스를
맞바꿔 경기를 하게 되며 두 번째 경기까지의 결과가 1승 1패일 경우 추첨으로 코스를 정한
후 마지막 세 번째(결승전이라면 다섯 번째) 경기를 갖는다.
2. 프리스타일 슬라럼
① 선수 한 명당 경기 시간은 2분(남녀 동일)이며 10초 정도 가감을 허용한다.
② 1회 혹은 2회의 경기 기회를 가지며 예선전과 결승전으로 나뉠 수 있는데 경기 전 내 외
부 상황과 선수 인원에 따라 심판장이 결정할 수 있으나 경기 시작 전에 선수들에게 알려야
한다.
③모든 선수는 경기 시 자신들이 사용할 음악을 제출(CD 등)하여야 하며 제출하지 않은
선수는 운영진 측에서 준비한 음악으로 대체한다.
④ 경기 순서는 추첨으로 결정하며 각 순서에 의해 심판이 이름을 호명했을 때 1분 안에 나
오지 않으면 기권으로 처리한다.
⑤⑤ 경기 시작은 선수 본인이 정한 위치에 정지해 있다가 스케이팅이 시작되거나 몸동작을
시작하면 start로 간주한다.
6선수 자의가 아닌 타의로 경기중 방해(방해요인 아래 참고)를 받았을 때 선수는 경기를
중단(중단하지 않은 경우 그대로 경기로 인정)해야 한다. 이후 방해 요인이 해결되면 즉시
혹은 마지막 순서로 재 경기를 할 수 있으며 방해받은 경기의 점수는 인정하지 않는다.
방해요인
-음악이 들리지 않거나 음량이 현저히 달라질 때
-경기장의 장비가 방해를 할 때
-물건이나 관객 등이 경기장 내에 난입함으로 인해 방해를 할 때
-(바람이 불어서) 콘이 위치를 이탈할 때
이상의 방해요인 이외의 경우로 경기가 중단될 때 심판진과 협의하여 심판장이 결정할 수
있다. 선수의 자의, 건강상태, 의상, 스케이트불량으로 인해 경기가 중단될 경우 선수의 책임
이다.
3. 잼 (듀엣)
① 프리스타일 슬라럼 경기진행과 같다.
제 8 조 보조진행자
선수나 심판이 경기를 진행하는 데 돕는 역할을 하며 보조진행자의 수는 경기 규모에 따라
적절히 가감할 수 있다.
1. 스피드 슬라럼
콘 재배치 (1명), 선수관리 (1명), 관중관리 (2명), 기타
2. 프리스타일 슬라럼
콘 재배치 (2명), 선수관리 (1명), 관중관리 (2명), 경기 시간과 음악 관리 (1명), 기타
3. 잼 (듀엣)
프리스타일 슬라럼과 같음
제 9 조 심사 및 심판
어느 쪽으로도 치우침 없이 선수가 펼치는 경기를 신속, 정확 공정하게 평가해야 한다.
1. 스피드 슬라럼
출발심판 (1명), 벌점심판 (1명), 결승심판 (1명), 기록심판 (4명)
⑴ 개인기록경기일 경우
① 자동전자기록계측기가 있을 때는 계측기의 결과에 따른다.
② 자동전자기록계측기가 없을 경우 초시계(Stop-watch)로 측정한다. 0.01초까지 잴 수 있는
초시계여야 하며 모두 같은 모델이어야 한다.
③출발심판의 신호를 보고 측정을 시작하며 선수의 첫 번째 휠 중심이 결승선에 닿는 순간
측정을 멈춘다.
④ 4명의 기록심판 중 2명 이상이 일치하면 그 2명 이상에 의해 제시된 기록을 인정한다. 4
명의 기록심판이 일치하지 않으면 가장 빠른 기록과 가장 느린 기록을 제외한 2명 기록의
평균으로 한다.
⑤ 경기중 콘을 넘어뜨리거나 지나칠 때 콘 하나당 0.2초가 더해진다.
⑥ 넘어뜨리거나 지나친 콘의 개수가 총 4개 이상일 경우 실격으로 처리한다.
⑦ 기록 + 벌점 = 최종 기록
⑵ 토너먼트(승자승)경기일 경우
① 경기중 넘어뜨리거나 지나친 콘의 개수가 총 4개 이상일 경우 결승선을 먼저 통과해도
실격패(해당 경기에 한함)로 처리한다.
② 두 선수 모두 실격일 경우 해당 경기는 무효로 처리하고 재경기를 실시한다.
③ 사진판정기가 있을 때는 판정기의 결과에 따른다.
④ 사진판정기가 없을 경우 결승심판의 결정에 따른다.
2. 프리스타일 슬라럼
경기 심판 (5명), 벌점 심판 (1명)
① 경기를 평가하는 과정인 심사는 공정해야 한다. 심판의 수는 가감할 수 있다.
② 30점 만점이며 예술 15점, 기술 15점으로 나뉜다. 다섯 명의 채점 중 최고점수와 최저점
수를 뺀 세 명의 점수를 평균하여 산출한다.
③ 아래 "점수 기준"의 중간 점수를 줄 수 있으며(예: 5점) 정확한 채점을 위하여 0.1점 단위
까지 세밀히 나타낼 수도 있다.
④점수 기준
선수가 움직이지 않을 때: 0점
부족할 때; 2점
보통일 때: 4점
완벽할 때: 6점
(활용 점수와 스피드 점수는 순서에 따라 0점, 1점, 2점, 3점으로 나뉜다.)
예술-프로그램(콤보) 구성 및 음악과의 조화 6점
-창의성 6점
-콘 코스의 전체적인 활용 3점
기술-난이도 6점 (최재형 님의 논문 [걸음걸이 알고리즘과 표기방법]의 보법 참고 가능)
-다양성 6점
-스피드 3점
⑤ 벌점-넘어짐 -3점
-스케이트가 아닌 다른 신체부위가 바닥에 닿음 -1.5점
-콘이 넘어질 때(넘어지지 않아도 제 위치에서 10cm 이상 움직이면 넘어진 것으로
간주함. 10cm의 정확성은 벌점심판의 재량에 따름)마다 -0.2점 (콘과 스케이트가 닿은 상태
에서의 기술은 예외)
-경기시간 초과 및 단축 10초당 -0.5점 (경기종료 후 음악 및 시간관리를 맡은 보조진
행자가 벌점심판에게 알린다)
⑥ 총 점수 - 총 벌점 = 최종 점수
3. 잼 (듀엣)
프리스타일 심사기준을 따르나 예술과 기술 외에 어울림(15점)이 추가된다. (잼 경기의 총
점수는 45점이다.)
제 10 조 순위
1. 스피드 슬라럼
⑴ 개인기록경기일 경우
① 가장 빠른 기록순으로 순위를 정한다.
② 같은 기록일 경우 벌점이 적은 선수에게 높은 순위를 부여한다.
③ 같은 기록이며 벌점도 같을 경우 1차시기가 더 빠른 선수에게 높은 순위를 부여한다.
④ 같은 기록이며 벌점도 같고 1차시기 기록도 같을 경우 1회의 재경기를 실시한다.
⑵ 토너먼트(승자승)경기일 경우
① 결승전에서 승리한 선수가 1위가 되며 패한 선수는 2위가 된다.
② 결승에 오르지 못한 두 선수가 3, 4위전을 벌여 승리한 선수가 3위, 패한 선수가 4위가 된다.
③경기 상황에 따라 5위 이하 순위를 정하는 경기를 가질 수 있다.
2.프리스타일 슬라럼
① 최종 점수가 가장 높은 선수가 1위가 되며 점수 비례로 2위 이하가 정해진다.
② 최종 점수가 같을 경우 벌점이 적은 선수가 우선이며 벌점도 같을 경우 예술 점수가 높은 선수가 우선이다. 예술 점수도 같다면 공동순위로 한다.
3. 잼 (듀엣)
① 최종 점수가 가장 높은 팀이 1위가 되며 점수 비례로 2위 이하가 정해진다.
② 최종 점수가 같을 경우 어울림 점수가 높은 팀이 우선이며 어울림 점수도 같을 경우벌점이 적은 팀이 우선이다. 벌점도 같다면 공동순위로 한다.
2004년 2월 17일 제정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광명시 롤러연맹
GRSF
http://www.grsf.co.kr/
'일상 > 횡설수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Fun] Winamp 홈페이지 (0) | 2004.08.20 |
---|---|
이원희, 부상중이었군요. (1) | 2004.08.17 |
여행을 떠나요~~ (0) | 2004.08.10 |
Audi Concept (0) | 2004.08.02 |
[정보] 단기 운전자 확대특약 (0) | 2004.07.29 |